[뉴스초점] '파묘' 1천만 고지 눈앞…33년 '학전' 역사속으로<br /><br /><br />장재현 감독의 '파묘'가 올해 첫 1천만 영화 달성을 눈 앞에 두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국내 스타들의 등용문 역할을 한 대학로 소극장 '학전'이 33년 만에 막을 내렸습니다.<br /><br />이번 주 문화 소식 짚어봅니다. 김헌식 문화평론가 어서오세요.<br /><br /> 영화 '파묘'가 1천만 고지를 향해 달려가고 있습니다. 개봉 24일 차인 어제 누적 관객 수 900만 명을 넘긴 건데요. 지난해 최고 인기작 '서울의 봄'보다 3일 더 빨라요. 이런 속도라면 다음 주말쯤에는 1천만명을 돌파할 것 같은데요?<br /><br /> '파묘'의 흥행세를 꺾을 만한, 이렇다 할 대작도 없어서 더 유리한 상황입니다. 오래된 묘를 파헤치며 겪는, 오컬트 장르 영화로서는 이미 최고 흥행작이 됐는데요. 장르적 한계를 뛰어넘어 많은 분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이유가 뭘까요?<br /><br /> 사실 코로나19 이후 OTT가 대세로 자리를 잡으면서 극장가가 좀처럼 활기를 되찾지 못했는데 작년 서울의봄에 이어서 올 초 파묘까지 천만 영화가 잇따라 나오고 있어요. 잘 만든 영화는 대중이 외면하지 않는다고 해석할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'파묘'는 해외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. 지난달 인도네시아에서 개봉했는데 150만 명이 몰려 역대 한국 영화 관객 수 1위의 기록을 세웠습니다. 아시아뿐 아니라 북미와 영국에서도 개봉했는데요. 관람평들이 어떻습니까?<br /><br /> 따뜻한 봄바람이 부는 요즘, 로맨스 영화가 줄줄이 개봉을 앞두고 있습니다. 기대해 볼 만한 영화에 또 어떤 것들이 있나요?<br /><br /> 지난 33년간 무려 9백여 명의 배우와 음악인들의 발판이 되어주었던 무대가 막을 내렸습니다. 많은 분이 아쉬워했는데요. 예술인들에겐 기회를, 관객들에겐 추억을 안겨줬던 대학로 소극장 '학전'이 왜 문을 닫게 된 겁니까?<br /><br /> '학전'에서 탄생한 스타들 많습니다. 가수 고 김광석과 이소라, 윤도현, 안치환은 물론 설경구와 황정민, 조승우 등 설명이 필요 없는 배우들도 이곳을 거쳤습니다.<br /><br />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재개관 시점을 7월 이후로 잡고 있습니다. '김광석 노래상 경연대회'와 아동극 등 기존 사업도 유지될 것으로 보이는데요. 명맥은 이어가지만 '학전'이란 이름은 없어진다고요?<br /><br /> '모댄스' 내한 공연 취소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'모댄스'는 '푸틴의 발레리나'로 불리는 러시아 스타 무용수 자하로바를 위해 만들어졌는데요. 주최 측은 안전 우려로 취소했다는 입장이지만 러시아 대사관이 정치적인 이유 아니냐며 반발하고 나섰습니다. 이 문제 어떻게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'모댄스' 공연 취소 파장이 다음 달 볼쇼이 발레단 공연으로도 확산할지 주목됩니다. '친푸틴 예술가' 게르기예프 총감독이 볼쇼이 발레단의 모스크바 극장을 맡았기 때문인데요. 세종문화회관 측도 여론을 주시하는 분위기예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(끝)<br /><br />